수묵산수화 대가 창산(蒼汕) 김대원, 영남누정 실경산수화전
입력: 2022.09.20 14:22 / 수정: 2022.09.20 14:22

9월28부터 10월7일까지 안동문화예술의전당서 100여점 전시

수묵산수화의 대가 김대원 화백의 누정 전시회가 영남의 누정, 그림 속으로 들어가다란 제목으로 오는 9월28일~10월7일까지 안동문화예술의 전당 34, 35갤러리에서 열린다. 사진은 김대원 작품 분옥정. /김대원 화백 제공
수묵산수화의 대가 김대원 화백의 누정 전시회가 '영남의 누정, 그림 속으로 들어가다'란 제목으로 오는 9월28일~10월7일까지 안동문화예술의 전당 34, 35갤러리에서 열린다. 사진은 김대원 작품 분옥정. /김대원 화백 제공

[더팩트ㅣ강일홍 기자] 수묵산수화의 대가 김대원 화백의 누정 전시회가 오는 9월28일~10월7일까지 안동문화예술의 전당 34, 35갤러리에서 열린다.

창산(蒼汕) 김대원(金大源)은 안동출신으로 평생 대한민국 절경의 산수를 찾아다니며 붓으로 자연의 실경을 담아낸 화가다.

전시회는 '영남의 누정, 그림 속으로 들어가다'란 제목으로 진행되며 2022년 유네스코 추진 특별전 형식으로 경상북도와 한국국학진흥원이 주최한다.

이번 실경산수화전에는 김대원 미술관이 보유한 200여 점의 실경산수화 가운데 영덕 침수정, 청송 방호정, 예천 초간정, 영주의 금선정, 안동의 만휴정 등 누정 100점이 전시된다.

김대원 화백은 35년간 경기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300여회의 단체전과 25회여회 개인전을 가진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중견화가다.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과 우수상, 제3회 월전미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특히 실경산수 분야에서는 이론(고려대학교 한문학 박사 학위)과 실기를 완벽하게 갖춘 화가로 평가받는다. 중국역대화론(中國歷代畵論)(1-5권), 조선시대 그림이야기)(1-4권), 원림(園林)과 중국문화(中國文化)(1-4권), 중국고대화론유편(中國古代畵論類編)(1-16권)은 창산의 손을 거쳐 탄생한 번역서들이다.

그가 고집스럽게 산수 실경을 화폭에 담아내는 이유는 본인만의 개성 넘치는 현대적 산수화를 추구하면서도 전통의 핵심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서다.

2020년 봄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했던 경기대학를 정년퇴직을 하고, 안동으로 귀향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경상북도 일대의 수많은 정자(亭子)를 화폭에 담아내기 시작했다.

창산(蒼汕) 김대원은 안동출신으로 평생 대한민국 절경의 산수를 찾아다니며 붓으로 자연의 실경을 담아냈다. 김 화백은 은퇴 후 안빈낙도의 편안한 마음으로 작품활동에 더 심혈을 기울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대원 화백 제공
창산(蒼汕) 김대원은 안동출신으로 평생 대한민국 절경의 산수를 찾아다니며 붓으로 자연의 실경을 담아냈다. 김 화백은 "은퇴 후 안빈낙도의 편안한 마음으로 작품활동에 더 심혈을 기울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대원 화백 제공

김대원 화백은 이번 실경산수화 전시회를 앞두고 "2년전 교단에서 은퇴한 후 안빈낙도의 편안한 마음으로 귀향하고 보니 오히려 작품활동에 더 심혈을 기울일 수 있었다"면서 "올해 9월까지 완성한 180여점의 누정중에서도 100여점만을 특별히 엄선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저의 주된 관심사는 그림이 될 법한 정자이고, 화가의 눈으로 보아 그럴듯한 그림이 나와 주어야만 마음에 드는 정자인 것이지, 명승인가 보물인가는 중요하지 않다"면서 "사진으로 찍은 정자가 현실의 정자와 똑같다면, 그림 속의 정자는 현실에서 볼 수 없는 더 많은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창산은 눈앞에 정자와 정자를 둘러싸고 있는 주위 풍광을 두고 수백 번 더 더하고 빼기를 반복하면서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유려한 조형미를 살려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되는 작품들은 기존 창산 수묵산수화 중에서도 절정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김 화백은 중국 화론이론서 번역 이후 산수의 경관을 그대로 묘사하기 보단 자연의 핵심을 포착하는 실경산수화로 전환했고, 이런 실험은 이번 전시회의 다른 작품을 통해서도 여실하게 다가온다. 청량산 그림이 그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2005년 작 청량산고산정이 고산정을 그림 한편의 점경으로 배치한 가운데 화폭의 중심을 커다란 절벽으로 채움으로써 청량산의 역동성을 보여주었다면, 2022년에 그린 고산정은 흰 여백을 배경으로 정자를 도드라지게 표현한 덕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은 물론 쌓아올린 석축까지 볼 수 있다.

예전의 정자는 그 속에 머물면서 주변의 풍경을 바라보는 것이 중요했다면, 이제는 멀찍이 떨어진 곳에서 정자의 모습을 감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많은 정자는 문이 잠겨 있어 안으로 들어가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김대원 화백은 앞으로 구곡(九曲)을 그리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과거 선인들이 바람소리와 물소리를 들을 수 있는 깊은 산 속에 정자를 짓고 성정을 다스리는 일에 몰두했다면 산수에서 정자로, 정자에서 다시 구곡으로 그림을 완성하는 김대원이야말로 자연을 벗하고 붓으로 노래하는 행복한 화가이다.

ee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