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장애유형 맞춤형 일자리 '순항'…민관협력 모범사례
입력: 2024.06.26 11:15 / 수정: 2024.06.26 11:15

사업장 140곳서 240명 참여
참여 뒤 구직 성공사례 다수…업체도 만족


장애인들이 자신 있는 분야에서 일경험을 쌓고 민간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는 서울시 장애 유형 맞춤형 특화 일자리가 순항 중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4월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 문화의마당에서 열린 2024 동행서울 누리축제에 참석해 장애인·비장애인이 함께 앉을 수 있는 누구나 벤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서예원 기자
장애인들이 자신 있는 분야에서 일경험을 쌓고 민간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는 서울시 장애 유형 맞춤형 특화 일자리가 순항 중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4월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 문화의마당에서 열린 '2024 동행서울 누리축제'에 참석해 장애인·비장애인이 함께 앉을 수 있는 '누구나 벤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서예원 기자

[더팩트 | 김해인 기자] 장애인들이 자신 있는 분야에서 일경험을 쌓고 민간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는 서울 장애유형 맞춤형 특화 일자리가 궤도에 올랐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2월 장애 유형 맞춤형 특화 일자리 참여자를 선발, 이달 기준 장애인 240명이 근무처 140곳에서 일하고 있다.

장애유형뿐만 아니라 고용시장의 변화까지 고려한 사업으로, 민관이 협업해 장애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발굴하고 지원한다. 예컨대 반복 직무에 강한 발달장애인에게 키오스크 사용 및 시설물 안내 업무를, 거동이 불편한 중증 근육장애인에게 불법·저작권 침해 콘텐츠 모니터링 직무를 제안한다.

효율적 관리와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이달 초 일자리 수행기관과 함께 근무처 현장 확인을 실시했다. 그 결과 장애인이 잘할 수 있는 분야에서 일하면서 직무 역량을 쌓고 자기개발과 사회참여를 통해 자존감을 높이는 등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민간일자리 경험을 통해 취업에 성공한 사례가 많다. 또 전공을 살려 직무역량을 강화하고, 일자리 기회 부여의 고마움을 기부로 환원한 참여자도 있었다.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체의 호응도 크다. 그동안 장애인 직무 역량·현장 적응력·직장 내 관계 등을 파악하기 어려워 채용에 부담을 느꼈는데, 사업 참여를 통해 인건비 부담 없이 장애인을 이해할 기회를 갖게 됐다는 설명이다.

시는 중증 장애인을 위한 직무를 적극 발굴하고 우선 채용협약을 체결하는 등 일자리 사각지대 최소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현재 참여자의 85%가 중증장애인으로 경사로·화장실 등 장애인 편의시설 모니터링, 음악밴드·미술작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장애인이 사회 참여를 통해 경제적 자립을 꿈꿀 수 있또록 지속 가능한 직무 발굴과 함께 체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hi@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