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강' 노소영 "서울대 학생들 좀 실망, 지방대 학생들엔 감동"
입력: 2024.06.16 15:47 / 수정: 2024.06.16 15:47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은 정체성 기반돼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대학교와 계명대학교에서 특강을 진행한 후 학생들과 소통하며 느낀 소회를 밝혔다. /더팩트 DB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대학교와 계명대학교에서 특강을 진행한 후 학생들과 소통하며 느낀 소회를 밝혔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송다영 기자]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대학교와 계명대학교에서 특강을 진행한 후 학생들과 소통하며 느낀 소회를 밝혔다.

노 관장은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 '타불라 라사(tabula rasa)'란 제목의 글을 올렸다. 타불라 라사란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백지를 뜻한다.

노 관장은 "최근 계명대와 서울대에서 특강했다"며 "한 곳은 지방대학, 다른 한 곳은 서울대학. 학부생 수업이라 부담이 됐지만 좀 비교해 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고 말했다.

노 관장은 계명대 특강을 두고 "50분 정도 강연을 하고 포스트잇을 학생들에게 나눠 줬다. 무엇이라도 써 내지 않으면 저 문을 나가지 못한다고 선언했다"며 "무슨 질문이 나올까 매우 궁금해하면서 한 장씩 읽어 보았다. 감동이었다. 우선 순수했다. 질문들이 제대로 정곡을 찌른다. 진지한 고민이 묻어나는 질문들이었다"고 전했다.

반면 서울대 특강의 경우 "강의가 끝나고 질의응답 시간에 나는 가슴에서 나오는 질문을 더 좋아한다고 말하면서 진솔한 소통을 유도했다. 가슴으로 말하려면 가드를 내려야 하는데, 이들은 잔뜩 경직돼 있었다"며 "나오면서 주임교수에게 느낀 그대로 얘기했다. 좀 실망스러웠다고. 그러자 본인도 지방대에서 가르칠 때가 더 좋았다고 했다"고 말했다. 노 관장은 서울대 공대 섬유공학과를 졸업했다.

노 관장은 "두 학교를 비교하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며 "한쪽은 평범한 지방대, 다른 한쪽은 이 사회 최고 엘리트들이 모인 곳. 문제는 챗GPT 등의 인공지능이 서울대 학부생들의 지능은 훨씬 넘어섰다는 것이다. 교육시스템의 문제를 넘어 이제 교육의 목적 자체를 재고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은 정체성이 기반이 돼야 한다"며 "그래야 오리지널(독창성)이 생기고, 그것만이 인간이 기계를 이길 수 있게 한다"고 덧붙였다.

노 관장은 최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의 이혼소송 항소심에서 재산 분할로 1조3808억원을, 위자료로 20억원을 받아야 한다는 판결을 받았다. 오는 21일엔 SK 측이 'SK 빌딩에서 나가달라'며 아트센터 나비를 상대로 낸 소송 결과가 나온다.


manyzero@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