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서 파는 '액체괴물', 가습기살균제·발암물질 검출
입력: 2024.05.09 06:00 / 수정: 2024.05.09 06:00

서울시, 어린이 완구·학용품 검사결과 발표
붕소·납 성분도…기준치 최대 213배 초과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테무에서 판매하는 장난감 액체괴물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과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슬라임 제품. /서울시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테무에서 판매하는 장난감 '액체괴물'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과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슬라임 제품. /서울시

[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테무에서 판매하는 장난감 '액체괴물'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과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5월 둘째 주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 완구 5개와 필통·샤프펜슬 등 학용품 4개 등 9개 제품의 안전성을 검사한 결과 5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이른바 액체괴물로 불리는 슬라임 제품 2종 중 1종에서는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유해성 논란이 크게 일었던 CMIT(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와 MIT(메틸이소치아졸리논) 성분이 검출됐다. 액체괴물은 특유의 말랑말랑한 질감으로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은 장난감이다. 이 성분은 어린이 제품에서 사용이 금지돼 있다.

또다른 1개 제품에서는 슬라임 장식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DBP, DIBP)가 기준치 대비 213배 초과 검출됐고, 슬라임에서는 기준치 대비 최대 10배의 붕소 성분이 확인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정자수 감소·불임·조산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DEHP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이다. 이 제품은 36개월 미만 어린이가 작은 부품을 삼켜 질식할 위험이 있어 물리·기계적 시험에서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테무에서 판매하는 장난감 액체괴물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과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필통 제품. /서울시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테무에서 판매하는 장난감 '액체괴물'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과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필통 제품. /서울시

이밖에도 어린이들이 공부할 때 사용하는 학용품 2종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DBP)와 납 성분이 검출됐다. 어린이용 필통에서는 DEHP가 기준치 대비 최대 146배 초과 검출됐고, 샤프펜슬에서는 DBP가 기준치 대비 11배 넘게 나왔다. 금속 팁 부위에서는 기준치의 1.6배 납 성분이 확인됐다.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취미생활로 흔히 접하는피규어 제품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DINP) 기준치 3배 이상 검출됐다. DINP는 생식독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간독성 우려가 있는 유해물질이다.

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어린이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5월 셋째, 넷째 주는 어린이용 장신구 품목을 검사할 계획이다. 안전성 검사 결과는 시와 시 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경미 서울시 공정경제담당관은 "학용품, 완구 등 어린이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지속하는 가운데 해외 온라인 플랫폼 제품에서 지속적으로 유해물질이 검출되고 있다"며 "우리 아이들의 안전한 놀이, 공부 환경을 위해 해외직구 제품 구매 시 신중한 선택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hone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