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20년 종합계획
유휴부지 활용해 녹지 조성하면 인센티브
가로공원, 입체공원 등 서울에서 만날 수 있는 공원 유형이 다양해진다. 계곡 숲 공원 조성 예상도. /서울시 |
[더팩트ㅣ장혜승 기자] 가로공원, 입체공원 등 서울에서 만날 수 있는 공원 유형이 다양해진다. 유휴부지를 활용해 공원녹지를 조성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도 도입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4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을 11일 발표했다.
공원녹지법에 따라 공원녹지 확충과 관리, 이용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법정계획이다. 향후 20년간 서울이 만들어갈 공원 녹지의 방향을 담았다.
이번 계획은 지역 간 녹지 불균형 해소에 집중했던 2030 기본계획과 달리 생활권 단위의 촘촘한 공원녹지 서비스 전환에 초점을 맞췄다. 면적을 늘리는 양적 확충보다는 녹지의 질을 높인다는 목표다. 광역에서 생활권까지 촘촘한 그린네트워크를 구축해 '녹색우선도시 서울'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어린이·노인·장애인뿐만 아니라 반려동물 동반 가구까지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 유형을 다각화한다.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거나 재정비할 때 충분한 사전조사를 통해 지역 여건과 수요에 맞춘 특색을 살린다. 전통적인 공원과 다른 가로공원, 입체공원 등의 신규 공원유형도 명문화해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한다.
가로공원은 차가 다니는 도로를 줄이고 사람이 다니는 도보를 넓힌 공원으로, 광화문광장이 대표적 사례다. 입체공원은 건물 옥상처럼 입체적인 장소에 조성한 공원을 말한다.
반려동물 놀이터 가이드라인을 정립하고 확대하는 한편 공원 이용을 늘릴 수 있는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해 이용자 편의도 높인다.
고가하부나 폐선부지 등 유휴부지를 활용해 녹지를 조성하면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추진한다. 도로·철도 등을 지하화한 상부 공간에 공원을 만들어 권역별 녹지축을 연결하는 데도 신경쓴다.
탄소 흡수 기능도 강화한다. 2050 탄소중립 도시 실현을 위해 자체 배출 탄소량을 떨어뜨리는 데 힘쓴다. 아울러 집중호우·산사태 등 기후변화로 예측하기 어려운 재해를 막는 방재 기능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공청회를 비롯해 국토교통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를 통해 시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내년 초 계획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유영봉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앞으로 변화할 서울시민의 인구·사회적 변화를 담아 공원녹지 분야 장기계획을 발표했다"며 "생활권 내 공원녹지를 충분히 확보하고 녹색 우선 도시로 공간을 재편하기 위해 기본계획에 담긴 철학과 원칙을 충실히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zz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