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교사 100명 극단 선택…초등교사 가장 많았다
입력: 2023.07.30 17:14 / 수정: 2023.07.30 17:14

절반 이상 초등교사…고교·중등 순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경희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취합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공립 초·중·고 교원 100명이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했다. 사진은 교내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 한 신규 교사를 추모하기 위해 지난 2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후문에 화환이 놓여 있는 모습. /장윤석 인턴기자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경희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취합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공립 초·중·고 교원 100명이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했다. 사진은 교내에서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 한 신규 교사를 추모하기 위해 지난 2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후문에 화환이 놓여 있는 모습. /장윤석 인턴기자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최근 6년간 초·중·고 교사 100명이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숨진 교사 중 절반 이상이 초등학교 교사였다.

3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경희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서 취합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공립 초·중·고 교원 100명이 극단적 선택으로 사망했다.

이 중 초등학교 교사가 57명으로 가장 많았음, 고등학교 교사 28명, 중학교 교사 15명 순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2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13명), 부산(9명), 경북(8명), 충남(7명) 등으로 나타났다.

극단적 선택을 한 교사 수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14건에서 2019년 16건, 2020년 18건, 2021년 22건으로 4년 연속 늘었다. 지난해엔 19건으로 감소했고, 올해의 경우 상반기에만 11건으로 집계됐다.

극단적 선택을 한 사유 1위는 '원인불명(70명)'이었다. 그다음으로는 '우울증·공황장애'가 16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가족갈등' 4명, '신변비관'과 '질병비관' 각각 3명, '병역의무' 2명 등으로 조사됐다.

한편,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2년 차 신규 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채 발견돼 경찰과 교육 당국이 각각 조사에 나섰다. 이번 서이초 교사의 극단적 선택을 계기로 교권 보호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으면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js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