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교사들 "교원 증원이 우선…혼란만 가중"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 브리핑에 참석해 발표를 하고 있다./이동률 기자 |
[더팩트ㅣ김이현 기자] 2년 뒤부터 초중고교에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디지털교과서가 도입된다. '에듀테크'(교육+기술) 활용으로 각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 현장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교육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AI 기기 보급 확보 방안이 불명확할 뿐 아니라 교원 증원과 학급당 학생수 감축 등이 더 시급한 과제라는 지적이다. 되레 학생들 간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24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전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계획대로라면 2025년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이 먼저 AI교과서로 학습을 하게 된다.
핵심은 'AI교과서'다. AI교과서는 과학적·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사에게는 AI조교로서, 학생에게는 AI튜터로서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학생이 수학문제를 풀면 결과에 따라 AI교과서가 난이도를 조정하고, 보충 개념도 설명한다. 데이터는 교사에게 전달되는 식이다.
학생 수준별 맞춤 교육인 만큼 기존 '전자책' 형 디지털 교과서와 다르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AI교과서의 현장 안착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터치 교사단'을 운영하고, 혼란을 막기 위해 3년간 서책형 교과서와 병행한 뒤 2028년 전면 전환을 검토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AI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 안착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터치 교사단'을 운영하고, 혼란을 막기 위해 3년간 서책형 교과서와 병행한 뒤 2028년 전면 전환을 검토할 계획이다./이새롬 기자 |
교육계에서는 '시기상조'라는 반응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곧바로 입장문을 내고 "AI, 에듀테크 활용 수업은 교사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를 더 필요로 한다"며 "현재 한 반에 21명 이상 과밀학급이 전체 초‧중‧고교의 77%다. 26명 이상도 40%나 된다. 과밀학급 해소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계자는 "지금 교실 내 디지털 기기 여러 대를 가동하거나, 교사가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조차 갖춰지지 않은 상태"라며 "예산 확보 방안도 없이 정책만 내놓으니 혼란만 가중된다. 괜히 에듀테크 기업 배만 불려주는 게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 부총리는 혁신방안 발표 자리에서 "AI가 교사를 대체할 수는 없다. 어디까지나 보조교사일 뿐이다"라며 "그에 따른 교원 수급 모델도 보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프라 확충에 대한 지적에는 "문제가 없도록 점검한 뒤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보충하겠다"고만 답했다.
학생들 간 격차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정혜영 서울교사노동조합 대변인은 "이미 많은 초등학생들이 선행이나 복습을 위해 시중업체에서 판매하는 AI교과서를 활용한다"며 "기기를 교실로 가져온 것과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상위권 학생들이야 기기 조작력도 뛰어나고 배경지식도 많다"며 "문제는 중하위권 학생들인데, 어떤 매체를 가져다 줘도 인지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개별화 교육이 필요하니 교사가 붙여야 하는데, 교사 정원을 축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기초학력이 부진한 학생의 특징은 학습 동기나 의욕 자체가 없다는 것"이라며 "AI교과서가 도입 되더라도 교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디지털을 도입하면 교사수가 줄어도 된다는 건 착각"이라고 했다.
이어 "AI교과서가 도입되고 학생들이 사용법을 충분히 익히면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며 "다만 발생하는 수익이나 데이터 사용에 대한 사회적 환원, 저소득층 배려 방안 등 사기업과 사전 협약을 잘 맺어 여러 우려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spes@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