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탐구하고, 쓴다...조희연표 '생각을 쓰는 교실' 가보니
입력: 2022.07.14 05:00 / 수정: 2022.07.14 05:00

조 교육감 참관 서울 상도중학교 수업 현장

13일 오후 서울 상도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한 가지 사고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생각을 쓰는 교실’이 열렸다./서울시교육청 제공
13일 오후 서울 상도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한 가지 사고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생각을 쓰는 교실’이 열렸다./서울시교육청 제공

[더팩트ㅣ안정호 기자] "어떤 생각이 드나요?"

축구선수 손흥민의 인터뷰 영상을 본 뒤 학생들에게 각자 느낀 점을 묻는 선생님. 수업에 참여한 23명의 학생들의 생각은 저마다 다르다. 이후 학생들은 몇 가지 인터뷰를 더 시청하고 영상 속 인물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생각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시 ‘가치’에 대한 자신만의 질문을 만들고 서로의 질문을 공유한다.

학생들은 주어진 상황을 탐구하고 핵심 질문을 만드는 과정을 연습한다. 이어 만든 질문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한다. 이렇게 상황에 대한 ‘질문하기’가 완성된다. 이후 학생들은 자신이 만든 질문을 바탕으로 ‘탐구하기’ 과정을 거쳐 자신의 생각을 ‘쓰기’로 표현한다.

13일 오후 서울 상도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한 가지 사고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생각을 쓰는 교실’이 열렸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3기 임기에서 강조한 ‘생각을 쓰는 교실’은 학습자인 학생 스스로가 질문과 탐구를 거쳐 생각을 써서 표현하고 이를 통해 비판적·창의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서울형 교실 수업 혁신 방안이다.

앞서 그는 3기 취임사에서 "토론 속에서 심화된 생각을 글쓰기로 담아내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독서-토론과 연계한 글쓰기를 강조하는 서울형 수업·평가혁신 모델 ‘생각을 쓰는 교실’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3일 오후 서울 상도중학교에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고 있다./서울시교육청 제공
13일 오후 서울 상도중학교에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고 있다./서울시교육청 제공

◆ ‘생각의 힘’ 길러야…"학생들의 창의·논리적 역량↑"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020년부터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연계성을 강화해 학생들의 창의·논리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수업·평가 혁신 방안을 모색해 왔다. 시교육청은 ‘생각을 쓰는 교실’의 구현 모델로 지난해 ‘탐구 기반 쓰기 수업·평가모델’을 개발하면서 올해부터 현장에 적용 중이다.

이 수업·평가모델은 주어진 과제에 스스로 질문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거쳐 현상을 설명하고 주장을 정당화하는 글을 쓰면서 사고를 확장시키는 탐구 기반 학습이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특정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의 핵심에 논리적으로 답할 수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해당 모델은 ‘질문하기-탐구하기-쓰기’의 3단계 순서로 체계화했다. 질문하기 단계에선 탐구적인 질문을 생성해 핵심을 도출하거나 상황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설정해 질문을 생성한다. 탐구하기 단계는 제기된 질문을 중심으로 자료 탐색, 자료 요약, 분석·평가, 토의·토론 등의 지적 탐구활동을 수행한다. 쓰기 단계에서는 그동안의 과정을 바탕으로 문제해결 방안, 결과의 도출 등 탐구의 결과를 하나의 글쓰기로 최종 완성하는 것이다.

시교육청은 현재 서울 내 60개의 실천연구팀(중학교 29개팀·고등학교 31개팀)이 현장 연구를 진행하고 우수 사례를 중심으로 자료 개발과 확산 연수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3년부터 ‘탐구 기반 쓰기 수업·평가모델 실천, 선도학교’를 공모해 단위학교에 적용하고 향후 전체학교 대상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13일 오후 서울 상도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한 가지 사고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생각을 쓰는 교실’이 열렸다./서울시교육청 제공
13일 오후 서울 상도중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한 가지 사고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생각을 쓰는 교실’이 열렸다./서울시교육청 제공

◆ 한국형 모델 ‘생각을 쓰는 교실’…"초반 학습부터 학생이 주체"

수업을 진행한 이석영 영어과 수석교사는 "과거 교사가 주제를 정해서 일방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패턴이었지만 (생각을 쓰는 교실은) 초반부 학습부터 학생이 주체가 돼 주어진 상황에서 학생 스스로가 질문을 만들고 자신들의 지식이나 경험을 구조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교육부는 2028학년도 수능부터 서·논술형 문제 도입을 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교육청과 제주도교육청은 토론형 논술교육과정인 국제 바칼로레아(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한국형 탐구 기반 쓰기 수업·평가모델을 계속 발전시켜 일반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수업을 참관한 조 교육감은 "IB를 벤치마킹하는 것 외에도 ‘생각을 쓰는 교실’을 통해 ‘질문-탐구-쓰기’라는 하나의 방법론에서 시작한 한국형 자체 모델이 궁극적으로 종합 모델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조 교육감은 "이와 같은 미래형 수업에 대한 실험을 서울에서 이뤄지고 있다. 핵심은 수업을 이끌어 줄 선도적인 교사들로, 더 많은 교사가 (‘생각을 쓰는 교실’과 같은) 수업 혁신에 참여하고 자신의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시교육청은) 더 많은 교사가 참여할 수 있도록 교원학습공동체를 지원하고 행정적 부담을 줄여 해당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vividocu@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