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무실 이전' 용산공원도 불똥…"시민친화형" vs "생태공간에 부적절"
입력: 2022.03.27 00:00 / 수정: 2022.03.27 00:00

윤 당선인 이전 계획에 공원도 영향 불가피…미군과 졸속 협상 우려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용사 집무실 계획을 발표하면서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 미칠 영향도 관심이 쏠린다. 윤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용사 집무실' 계획을 발표하면서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 미칠 영향도 관심이 쏠린다. 윤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용산 집무실' 계획을 발표하면서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 미칠 영향도 관심이 쏠린다.

서울시는 윤 당선인이 '소통'을 전면에 내건 만큼 더 시민친화적인 방향이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행정부의 상징이 자리잡게 되면 '도심 속 녹지공간'이라는 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27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집무실을 현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한편 임기 시작일인 5월10일 청와대를 국민에게 개방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미군이 반환하는 용산기지에 조성 예정인 용산공원 계획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지리적으로 현 국방부를 둘러싸고 공원이 형성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말 고시한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2차 변경계획에 따르면 용산공원 면적은 300만㎡다. 우선 미군의 기지반환이 완료되기 전까지 조성계획과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부분적으로 반환되는 부지를 개방할 예정이다. 기지반환이 완료된 뒤에는 3년 안에 설계 보완 및 문화재 발굴과 오염정화 등을 수행하고, 이후 공원 접근성이 높은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조성해 7년 안에 모두 개방한다는 구상이다.

현재는 기본계획에 따라 조성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다. 2007년 제정된 용상공원 조성 특별법에 따라 각 계 의견을 수렴하며 진행하고 있으며 관할 지자체인 서울시도 협의 주체 중 하나다.

서울시 관계자는 "국방부 청사 대신 대통령 집무실을 전제로 하게 되면 아무래도 계획 수립에 영향이 있을 수 밖에 없다"며 "윤 당선인이 소통을 강조한 만큼 그런 면이 반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예컨대 국방부 청사는 차폐가 필요해 나무를 심는 식으로 시야를 차단했을텐데 집무실이 들어오면 광장을 조성하거나 상징물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원을 조성하는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계획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용사 집무실 계획을 발표하면서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 미칠 영향도 관심이 쏠린다. 용산공원 정비구역 현황. /국토부 제공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용사 집무실' 계획을 발표하면서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 미칠 영향도 관심이 쏠린다. 용산공원 정비구역 현황. /국토부 제공

반면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생태와 역사를 주제로 한 공간에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오면 부정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그동안 수많은 논의를 통해 공감대가 형성된 방향성에 다소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신수연 녹색연합 군환경TF팀장은 "서울의 정가운데 굉장히 큰 공간인 만큼 과거 여러 부처에서 기념관, 박물관을 세운다는 계획을 내기도 했지만 모두 취소됐다"며 "논의 과정에서 생태와 역사를 주제로하는 녹지 공간을 만들자, 정부 시설물을 새로 짓지 말자는 담론이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취지에서 장기적으로 국방부를 이전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도 있었다"며 "그런 곳에 행정부 수장의 업무공간이 들어서는 것이 적절한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결정 과정에서 지역사회 의견 수렴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인호 서울시의회 의장은 "당초 윤 당선인의 공약은 광화문 청사였는데 갑자기 용산으로 선회했다"며 "서울 전반에 걸친 문제고,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다. 지역 주민들 의견도 중요한데 급작스럽게 결정하면서 혼선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22일 용산박물관 개관 기자간담회에서 "중앙정부에서 결정하는 일은 지방정부 수장인 구청장이 앞장서서 문제를 해결한 뒤 협조해야 하는데 전혀 이야기조차 없었다"며 "그렇게 한 뒤 뒤치다꺼리 하라는 것이 소통인지 모르겠다"며 비판했다.

실제 공원 개방이 윤 당선인 임기 안에 가능한지도 논란거리다. 애초 국토부 계획에 따르면 용산공원은 미군기지 반환 완료 7년 후에 정식 개장한다. 현재 부지 중 10%가량만 반환됐다. 당선인 측은 6월 기지 50만㎡가 추가 반환되면 시민에게 즉시 개방하겠다지만 유류 등으로 오염된 토양 등 환경정화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나머지 부지 조기 반환을 이뤄내려면 막대한 환경정화 비용을 놓고 벌어지는 미군과 협상이 졸속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hone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