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속앓는' 경찰관들…상담 부족에 조직문화도 한 몫
입력: 2022.03.07 00:00 / 수정: 2022.03.07 00:00

'철저한 총기관리' 대책 내놨지만 근본적 대안 마련 지적

현직 경찰관이 극단 선택을 하는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우울증이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치료를 위한 상담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지적과 함께 현장에서는 근본적인 조직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동률 기자
현직 경찰관이 극단 선택을 하는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우울증이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치료를 위한 상담시스템이 미비하다는 지적과 함께 현장에서는 근본적인 조직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동률 기자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우울증이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고통받는 경찰관이 안타까운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치료를 위한 상담시스템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근본적인 조직문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적지않다.

지난달 27일 서울 서대문경찰서 파출소에서는 야간근무 중이던 A(28) 경장이 숨진 채 발견됐다. 휴대전화에는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의 메모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1월에도 서울 종로경찰서 한 파출소에서 50대 경위가, 같은 해 10월에는 인천경찰청 소속 30대 경사가 경기 시흥 한 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연도별로 보면 전국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경찰관 수는 2016년 27명, 2017년 22명, 2018년 16명, 2019년 20명, 2020년 24명, 지난해 24명이다.

경찰은 서대문서 사건을 계기로 철저한 총기 관리를 대책으로 내놓았다. 최관호 서울경찰청장은 지난달 28일 기자간담회에서 "총기를 소지해 위험성은 항상 내재돼있다. 관리를 더 철저히 하고 사고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방법들을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관 정신 건강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 이은주 정의당 의원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찰 내 우울증 환자는 2016년 777명에서 2020년 1123명으로 늘었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도 2016년 24명, 2019년 46명까지 늘었다가 2020년 38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상담시스템은 인력이 부족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지역마다 전문상담소인 '마음동행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현실성 있는 상담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상담사 1명이 한해 상담하는 경찰관은 427명·833건이다.

현장에서는 상담만으로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본다. 한 일선 경찰 관계자는 "누군가 징후를 포착하고 상담을 받아보라고 해야 받으려고 한다. 본인 의지로 받는 경우는 시간적 여유도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경찰청은 2016년부터 동료가 사망하거나 트라우마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긴급심리지원'제도를 운영해왔다.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부서를 지정해 진행하는 '지정상담'을 2014년부터 실시해 매년 확대하고 있다.

경찰차 순찰차 자료사진 2020. 11. 11 남윤호 기자
경찰차 순찰차 자료사진 2020. 11. 11 남윤호 기자

다만 사고 이후 주변 인물들의 정신 건강을 위한 지원과 노력도 시급하다. 해당 관계자는 "동료가 극단 선택을 하면 징후를 포착하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전파력도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총기 관리보다 근본적으로 자신의 정신적 문제를 털어놓기 힘든 조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본다. 이윤호 고려사이버대 석좌교수는 "총기는 도구에 불과한데 없다고 사고가 나지 않는 것은 아니지 않냐"며 "조직문화를 개선해야 하고, 결국 사람들이 만드는 문화이기에 내부에서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매년 상담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지난해 21명에서 5명을 충원해 26명이 됐다. 올해도 54명까지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조직문화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는 것은 충분히 알고 있다. 이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설명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