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출산 대한민국' 외면하는 이것…공공산후조리원 전국 13곳 뿐
입력: 2022.01.13 05:00 / 수정: 2022.01.13 05:00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공언 중 큰 이견을 띄지 않는 한 가지는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다. 이 후보는 이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공언 중 큰 이견을 띄지 않는 한 가지는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다. 이 후보는 이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뉴시스

이재명·윤석열 ‘확대’ 약속에 산모들 ‘내심 기대’

[더팩트ㅣ김미루 인턴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사이 이견이 없는 정책 중 한 가지는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다. 이 후보는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고, 윤 후보는 지난달 20일 강원도 철원의 공공산후조리원을 찾아 필요성을 언급했다.

12일 <더팩트>가 만난 산모들은 "말에 그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형편을 이유로 공공산후조리원을 찾는 산모가 많지만, 시설수가 워낙 적은 탓에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민간조리원을 찾아 비용부담을 견뎌야 한다. 공공산후조리원 들어가기를 ‘전쟁’과 견주는 이유다.

한국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 수인 합계출산율은 2020년 기준 0.84명으로 초저출산 국가 기준인 1.3명을 여유있게 밑돈다.

◆ 전국 평균 2주에 274만원, 강남 특실은 2600만원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0년 하반기 전국 산후조리원 501곳의 일반실 기준 2주 평균 가격은 274만 원이다.

산모들은 가격 부담을 토로한다. 최근 민간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윤훈진(27) 씨는 "애를 둘째까지만 낳아도 금액 부담이 크다"라며 "2주에 200만~300만원이 적은 돈은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서울 강남에 위치한 모 조리원은 2019년 2주 2500만원이었던 특실 비용을 최근 2600만원까지 올리기도 했다. 물론 소수 부유층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이라지만, 꾸준히 비용을 올리는 산후조리원이 적지 않다.

윤 씨는 "첫째와 둘째 때 모두 250만원을 주고 산후조리원에 갔다"며 "첫째 때 갔던 조리원이 요금을 인상해서 둘째 때는 더 저렴한 데를 갔다"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공공산후조리원을 선호하는 산모들도 느는 분위기다.

또 다른 산모 김모(31) 씨도 "(공공산후조리원이) 집 근처에 있으면 가서 상담 받아보고 싶다"며 "다음 기회가 있다면 꼭 공공으로 가고싶다"고 했다.

윤 후보는 지난달 20일 강원도 철원의 공공산후조리원을 찾았다. 그는 앞으로 이런 시설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뉴시스
윤 후보는 지난달 20일 강원도 철원의 공공산후조리원을 찾았다. 그는 "앞으로 이런 시설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뉴시스

과거엔 ‘공공이 민간보다 품질이 떨어진다’는 선입견이 컸지만 옛날 이야기다.

예컨대 공공산후조리원에 돌봄 직원으로 일하려면 보건복지부 장관이 발급하는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필수로 갖춰야 한다. 민간은 의무사항은 아니다.

수도권 한 공공산후조리원 관계자는 "모유수유전문가(IBCLC) 등 각종 전문 자격을 지닌 강사가 상주하는 곳도 많아 산모에게는 매력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산모와 아이의 건강 등을 책임지는 기관인 만큼 분유 등도 혹시 모를 문제나 불안이 따르지 않도록 검증된 제품을 쓴다"고 덧붙였다.

◆일년 내내 만실인 공공조리원만삭에 텐트 치고 줄서

산모들이 공공산후조리원을 선호하는 이유는 많지만 '공급'은 턱없이 부족하다. 전국에 단 13곳이다.

통상 12월과 1월은 '출생비수기'로 분류돼 공실인 산후조리원이 적지 않은데, 공공산후조리원은 매번 만실일 정도로 수요가 높다고 한다.

이런 탓에 공공산후조리원에 들어가려는 산모들이 되레 육체·정신적으로 무리하게 되는 현상이 빚어지기도 한다.

경기도 여주의 공공산후조리원 관계자는 "희망자가 붐벼 예약 당일 새벽부터 출산을 앞둔 부부가 텐트를 치고 노숙을 한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공공산후조리원이 확대되려면 예산 등 현실적 여건을 살피는 게 우선이다. 하지만 산모들은 '실현 방법'을 모색해 현실화하길 바란다고 입을 모았다.

한 산모는 "나라에서 애만 낳으라고 하지 말고 공공 지원을 늘려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miroo@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