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옹주와 공주의 차이는 왕의 정실의 소생이냐 첩의 소생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유튜브 영상 캡처 |
옹주와 공주의 차이, 왕의 정실과 후궁 소생
옹주와 공주의 차이가 관심을 높이고 있다.
옹주는 조선시대 임금의 후궁(後宮) 소생의 딸에게 주던 작호이다. 외명부의 가장 윗자리다. 옹주에게 장가 든 자는 처음에는 종2품의 위(尉)로 봉(封)하였다가 나중에는 정2품으로 올려주었다.
공주는 이 명칭은 중국의 진(秦)·한(漢)나라 때 황제가 딸의 혼인을 삼공(三公:大司馬·大司公·大司徒)에게 맡겨 주관하도록 한 데서 비롯되었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이전부터 이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고대에는 고구려의 왕자 호동과의 비련의 주인공 낙랑공주(樂浪公主), 고구려 평원왕의 딸로서 온달(溫達)에게 시집간 평강공주(平岡公主) 등이 있다.
조선 전기 '경국대전'에서는 왕의 정실이 낳은 딸을 공주라 하고, 측실이 낳은 딸을 옹주(翁主)라 하여 구별하는 한편, 공주는 품계를 초월한 외명부(外命婦)의 최상위에 올려놓았다.
[더팩트 | 이정진 기자 sseou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