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용 감독이 '원더랜드'로 던진 질문[TF인터뷰]
입력: 2024.06.13 00:00 / 수정: 2024.06.13 00:00

'만추' 이후 13년 만의 신작
"여러 케이스가 어우러지면서 영화가 풍성해지길 바랐어요"


김태용 감독이 영화 원더랜드 개봉을 기념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김태용 감독이 영화 '원더랜드' 개봉을 기념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더팩트|박지윤 기자] 김태용 감독이 13년 만에 새로운 작품으로 돌아왔다. 더 이상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게 아닌 우리가 발 딛고 있는 현실에서도 충분히 실현 가능한 AI를 바탕으로 여러 캐릭터의 다양한 이야기를 조화롭게 다루며 관객들에게 질문을 남긴 '원더랜드'다.

김 감독은 '원더랜드'가 스크린에 걸린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있는 카페에서 <더팩트>와 만났다. '만추'(2011) 이후 약 13년 만에 국내 관객들과 만나게 된 그는 "걱정되고 염려되기도 하지만 오랜 시간 잡고 있던 프로젝트가 개봉했다는 것 자체에 기쁜 마음이 더 큰 것 같아요. 내일 되면 또 어떨지 모르겠지만요"라고 개봉한 소감을 전했다.

작품은 죽은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원더랜드'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 다시 만나는 이야기를 그린다.

원더랜드는 죽은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원더랜드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 다시 만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원더랜드'는 죽은 사람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영상통화 서비스 '원더랜드'를 통해 사랑하는 사람과 다시 만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평소 영상통화를 자주 이용하던 중 '나와 전화한 화면 속 사람이 진짜일까?'라는 궁금증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했다는 김 감독은 "코로나19 때 화상회의를 많이 했는데 진짜 그 사람을 만난 건지 아닌 건지 헷갈렸어요. 그렇다면 보고 싶은 사람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아도 화상통화로 정서적 교환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죠"라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주변에 놓친 사람들이 보고 싶을 때가 있잖아요. 이런 식으로 만나면 좋을지 아닐지 궁금했어요.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헤어지지 못하는 세상이 됐잖아요. 만남과 헤어짐의 경계가 불분명해지는 시대가 되니까 죽은 사람도 화상통화로 만나는 것도 스스로가 믿으면 믿을 수 있겠더라고요. 이런 믿음과 관계의 이야기를 기술로 풀어내면 좋을 것 같았죠."

무엇보다 '원더랜드'는 AI라는 신선한 소재 위에 배우 탕웨이 수지 박보검 정유미 최우식이라는 화려한 캐스팅 라인업을 구축하면서 제작 단계부터 많은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개봉 시기가 밀리면서 AI가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느껴지고 있는 지금 시점에 세상에 나오게 돼 아쉬움을 더했다. 그러나 이날 김 감독은 이와 관련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예전에 제 동생이 'SF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사람들의 일상에 누가 관심을 갖겠냐'고 했거든요. 그런데 지금은 인공지능과 함께 사는 일상에 보다 더 관심이 생긴 것 같아요. 예전에는 인공지능을 극복하는 상대라고 생각했다면 이제는 삶의 일부가 됐잖아요. 그런 점에서 관객들을 더 설득하려고 하지 않아도 쉽게 받아들이겠다고 생각했죠. 사실 이렇게 긍정적인 것만 생각하려고 애쓰고 있어요(웃음)."

김태용 감독(오른쪽)은 배우 탕웨이에 관해 신기할 정도로 일상과 세트장에서의 느낌이 다르다고 말했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서예원 기자
김태용 감독(오른쪽)은 배우 탕웨이에 관해 "신기할 정도로 일상과 세트장에서의 느낌이 다르다"고 말했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서예원 기자

이날 김 감독은 '만추' 이후 13년 만에 재회한 배우이자 아내 탕웨이와의 작업 과정도 들려줬다. 그는 탕웨이를 캐스팅한 것에 관해 "시나리오 쓸 때는 캐스팅과 관계없이 소재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눴어요. 그분도 바쁘시니까 시간이 많이 흐르고 나서 시나리오가 완성된 후에 함께 일하는 제작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바이리 역을 탕웨이가 하면 어떨까'라는 의견이 나왔죠. 제일 늦게 캐스팅됐어요. 이야기는 알고 있었지만 본인에게 대본이 올지 몰랐을 거예요"라고 회상했다.

"13년 전 ('만추' 때) 기억은 잘 나지 않는데 감독과 배우의 관계였고 외국인이다 보니까 어려웠던 것 같아요. 이후 함께 생활했는데도 신기할 정도로 일상과 세트장에서의 느낌이 달라요. 카메라 앞에 있을 때 확 달라지는 점이 재밌었어요. 그동안 탕웨이의 작품을 많이 봤는데 영화 안의 캐릭터로만 보여요. 물론 '아 저 부분은 캐릭터가 아니라 본인 성격 같은데'라는 것도 있지만요. 영화를 보면서 일상을 나누는 사람으로 연결되지 않는 편이에요."

또한 김 감독은 수지 박보검 정유미 최우식을 향해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그는 수지와 박보검을 언급하면서 "이런 사랑스러운 피조물이 있나 싶을 정도"라고 솔직하게 말해 웃음을 안겼고 정유미와 최우식에 관해 "두 배우는 우리의 이야기를 땅에 딱 붙어있을 수 있게 해줬어요. 관객들이 지루하게 볼 수 있는 부분을 사랑스럽게 만들어줬죠"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정인(수지 분)과 태주(박보검 분)가 진짜 서로 사랑하는 사람처럼 느껴지길 바랐거든요. 두 배우가 한다고 했을 때 너무 좋았죠. 또 만날 때마다 리허설도 많이 하고 사진도 계속 찍었어요. 화면에 잡히지 않아도 상대가 연기할 때 현장에 나와서 계속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줬고요. 연출자 입장에서 너무 잘 어울리는 두 배우가 그렇게 서로를 배려하면서 연기하니까 너무 행복했어요."

김태용 감독은 원더랜드가 관객들에게 무언가를 남기는 영화가 됐으면 좋겠다고 많은 관람을 독려했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김태용 감독은 "'원더랜드'가 관객들에게 무언가를 남기는 영화가 됐으면 좋겠다"고 많은 관람을 독려했다.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그런가 하면 김 감독은 옴니버스 형식 특성상 모든 캐릭터의 내용과 서사가 대체로 빈약하다는 반응에 관해서도 솔직한 생각을 전했다.

1~2명의 이야기를 깊게 다루는 것과 지금처럼 여러 케이스를 다 넣는 것을 두고 고민을 거듭했다는 그는 "이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많을 걸 알지만 이번 작품은 여러 사람들의 합이 모여야 좋을 것 같았어요"라며 "AI로 인해 피폐해진 사람과 현실을 극복하고 행복함을 느끼는 사람 등을 통해 이야기를 중립적으로 다뤄보고 싶었죠"라고 설명했다.

"'정인이는 살아 돌아온 태주를 어떻게 받아들일까. 왜 기계보다 인간을 더 못 받아들일까' '바이리의 엄마는 죽은 딸의 사진을 아무렇지 않게 보지만 AI는 왜 마주하지 못할까' 등 받아들이는 것에 관하여 여러 케이스를 다루면 각 캐릭터가 서로 시너지를 낼 거라고 생각했어요. 물론 1~2명의 이야기를 깊게 다루면 또 다른 장점이 있겠지만 여러 케이스가 어우러져서 영화가 풍성해지길 바랐어요. 구조가 가지는 장단점이 있지만 저는 장점에만 집중했죠."

이날 김 감독은 <더팩트>와 만나기 전 실시간으로 스코어를 체크하고 있었다. 13년 만에 신작을 선보이게 된 만큼 말로 다 설명할 수 없는 설렘과 부담을 동시에 안고 있던 그는 "너무 오랜만에 영화를 개봉하게 돼서 이 스코어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 모르겠더라고요. 적은 것도 많은 것도 아니라고 하던데요"라고 솔직하게 말하면서도 끝까지 작품 홍보를 잊지 않았다.

"무언가가 남는 영화가 됐으면 좋겠어요. 엄청 스펙터클한 건 아니지만 극 중 캐릭터들의 사연이 누군가에게 한 번씩은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저는 '원더랜드'를 보고 이야기가 꼬리의 꼬리를 물면서 처음 받아들였던 이야기가 다른 각도로도 보이고 확장되길 바랍니다."

jiyoon-1031@tf.co.kr
[연예부 | ssent@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