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일홍의 클로즈업] 공연계 '이중고'...객석 열기 식고 대관 경쟁까지
입력: 2023.06.12 00:00 / 수정: 2023.07.06 08:09

포스트 코로나에도 불구, 되살아나지 않는 '공연장 열기'
공연계, 투명하고 합리적인 대관 운영시스템 '한 목소리'


가수 효린이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평화의전당에서 열린 2020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에 참석해 축하무대를 펼치고 있다. /더팩트 DB
가수 효린이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평화의전당에서 열린 '2020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에 참석해 축하무대를 펼치고 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강일홍 기자] K팝으로 대변되는 한류 아이돌의 해외 열기에도 불구하고 기대했던 국내 콘서트 분위기는 예전 같지가 않습니다. 4월부터 '쌍끌이 전국투어'에 나선 '미스터트롯2'나 '불타는 트롯맨' 콘서트는 연중 최고 성수기인 5월에도 객석을 다 채우지 못해 공연기획자들이 수지타산에 전전긍긍하는 처지입니다.

레전드급 기성가수들의 콘서트도 대폭 축소되는 상황인데요. 관객들의 외면으로 콘서트 일정마다 차질을 빚고 취소가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죠. 당초 4회로 기획됐던 '2023 조용필 & 위대한탄생 콘서트'는 지난달 서울과 대구 등 두번 공연으로 축소 마무리됐습니다. 전반적으로 열기가 식고 생동감을 잃은 분위기입니다.

공연계 한숨도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코로나는 끝났는데 공연 열기가 좀처럼 되살아나지 않기 때문이죠. 이런 상황은 지방자치단체 각종 행사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축제 시기에도 예년 같은 활력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열기가 식으면서 업계의 고통이 가중되는 형국인데요. 공연기획자들이 울상을 짓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경희대학 평화의 전당은 체육시설이 아닌 단일 문화공간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사진은 지난달 뮤지컬 나폴레옹 공연 당시 평화의 전당 실내 전경. / 온라인커뮤니티
경희대학 평화의 전당은 체육시설이 아닌 단일 문화공간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사진은 지난달 뮤지컬 '나폴레옹' 공연 당시 평화의 전당 실내 전경. / 온라인커뮤니티

국내 공연장 태부족-대관에 목 매는 상황, 공연 수지타산 버거운 게 현실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은 최대 4500석의 공연 활동이 가능한데요. 체육시설이 아닌 단일 실내 문화공간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입니다. 객석 크기만 따지면 세종문화회관(3022석) 예술의전당(2200석) 충무아트센터(1255석) 샤롯데씨어터(1240석) 국립극장(1200)을 뛰어넘습니다. 그래서 대중 콘서트장으로 자주 활용되는 곳이죠.

이런 평화의 전당이 최근 공연 관계자들 사이에 공연장 대관을 둘러싸고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일부이긴 하지만 공연 인프라가 완벽하게 갖춰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보다 오히려 비싼 제작비를 감수해야한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학교 시설인 평화의 전당은 타 공연장과 달리 교육용으로 등록돼 있어 전기료 등 일부는 감면혜택을 받습니다.

현재 대중 스타들이 콘서트를 진행할 만한 국내 공연장이 태부족이다 보니 공연기획자들은 대관에 경쟁적으로 매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예정된 공연을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비싼 대관료를 감수하다 보면 수지타산을 맞추기도 힘들죠. 이 때문에 기본 시설 외에 추가 공간 임대를 포기하고 공연장 로비에서 사무를 보는 일도 있습니다.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은 최대 4500석의 공연 활동이 가능하다. 사진은 공연장이 아닌 학교 시설인 교육용으로 등록돼 있어 전기료 등 일부 감면혜택을 받는다. 평화의 전당 외부 전경. /온라인커뮤니티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은 최대 4500석의 공연 활동이 가능하다. 사진은 공연장이 아닌 학교 시설인 교육용으로 등록돼 있어 전기료 등 일부 감면혜택을 받는다. 평화의 전당 외부 전경. /온라인커뮤니티

경희대 측, "외부 업체는 '운영 지원업무'만 담당, 대관 승인과정 관여 못해"

구조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요? 경희대 평화의 전당은 외부 업체에 '운영 지원업무'를 위임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대학 측은 "대관 승인 절차는 '신청서 접수→심사→승인→계약서 작성'의 순으로 진행하며, 대관 심사는 학교 총무관리처 시설운영팀이 맡아 별도의 심의 위원회 심사 후 총장 보고를 통해 승인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대관 승인 과정에 용역업체가 관여할 수 없다는 것인데요.

학교 측은 또 외부 용역업체 논란 부분에 대해 '대학 인력만으로 공연 및 행사 지원에 한계가 있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공연 지원을 위해 입찰을 통해 시설 운영업체 선정했으며 해당 업체는 평화의전당 내외부 공연, 행사, 방송촬영 등의 진행에 따른 운영 지원업무를 담당한다'고 설명합니다. 지원업무는 대관 관련 안내, 신청서 접수, 대관료 산출, 공연 설치(무대 설치, 조명, 음향 등)와 철수 등입니다.

그럼에도 공연기획자들은 같은 공연기획자에게 업무(운영 지원)를 위임하는 것은 절대 투명할 수 없는 구조라고 말합니다. 2019년에도 비슷한 이유로 학교 측이 개선한 바 있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운영방식은 비용만 가중시킨다는 지적입니다. 결국 K팝의 풀뿌리인 국내 공연계는 비싼 대관료에 객석 열기마저 줄어드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합리적 관리시스템이 절실해보입니다.

ee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