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IT >E스포츠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라이엇게임즈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 세 번째 국제 대회 추진"
입력: 2024.06.12 15:16 / 수정: 2024.06.12 15:16

전 세계 5개 지역 재편
MSI는 10개팀, 월드 챔피언십은 17개팀 진행


가장 최근 열린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 국제 대회인 MSI에서 우승한 젠지 /라이엇게임즈 이스포츠
가장 최근 열린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 국제 대회인 MSI에서 우승한 젠지 /라이엇게임즈 이스포츠

[더팩트 | 최승진 기자] 라이엇게임즈가 2025시즌부터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의 대규모 변화를 시도한다. 지속 가능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흥미와 경쟁의 묘미를 다잡기 위한 것이 골자다. 크게 새로운 세 번째 국제 대회 창설, 신규 국제 대회 및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모든 지역 리그 스플릿 스케줄 일원화, 아메리카스 및 아시아태평양 통합 리그 구축, 개편된 국제 대회의 참가팀 수 조정 등이 그것이다.

그동안 팀과 선수, 팬 모두 세계 강팀이 경쟁하는 대회가 더 많았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자주 접할 수 있었고 라이엇게임즈는 이 같은 의견을 바탕으로 또 하나의 국제 대회를 신설한다. 이 대회의 정식 명칭과 브랜딩은 추후 확정될 예정이다.

2025년에는 지역 리그 일정이 동일한 호흡으로 진행되도록 조정된다. 2025 시즌의 첫 번째 스플릿은 신설된 국제 대회 진출전을 겸한다. 세계 5개 지역에서 각각 진행되는 첫 번째 스플릿 우승팀이 신규 국제 대회에 출전할 자격을 얻는다.

내년 3월 열리는 이 신규 국제 대회는 6일간 진행된다. 5개 지역에서 한 팀씩, 총 5개 팀이 참가한다. 모든 참가팀은 다전제로 구성된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우선 대결하기 때문에 각 지역은 서로 다른 지역과 무조건 한 번씩 맞붙는다. 라운드 로빈 결과 상위 4개 팀은 토너먼트 라운드로 진출해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2025년 시작을 알리는 이 대회를 통해 팀과 선수, 팬들은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의 새로운 경쟁 형태를 볼 수 있고 게임의 새로운 측면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라이엇게임즈는 "매년 이 국제 대회를 통해 다양한 대회 방식을 실험하고 혁신 요소들을 담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첫 번째 스플릿과 신규 국제 대회에는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도입된다. '피어리스 드래프트'는 다전제를 치르는 동안 이전 세트에서 사용했던 챔피언을 다시 선택할 수 없는 밴픽 방식이다. 기존 대결 양상에 변화를 줄 수 있고 팬들에게는 더욱 많은 챔피언과 조합을 보여줄 수 있다. 지금까지 라이엇게임즈는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의 공식 국제 대회에서 '피어리스' 드래프트를 택한 적이 없기에 2025년 새로 만들어진 국제 대회를 통해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라이엇게임즈는 국제 대회 간 유기적인 연계를 위해 이번 첫 국제 대회 결과를 바탕으로 MSI 시드를 배정할 예정이다. 다만 이 국제 대회에서 시범 운영되는 대회 형식은 매년 바뀔 가능성이 있고 이어지는 나머지 스플릿과는 다른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우승팀에 MSI 출전 직행권을 부여하지는 않는다.

2025년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팀 숫자 /라이엇게임즈 이스포츠
2025년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팀 숫자 /라이엇게임즈 이스포츠

새로운 국제 대회가 도입되면서 지역 리그들의 일정과 대회 구조도 개편된다. 2025년부터 모든 지역 첫 번째 스플릿은 3월 열리는 새로운 국제 대회에 출전할 팀을 선발하는 대회로 펼쳐진다. 두 번째 스플릿을 통해 MSI 출전 자격이 주어지며 이에 따라 MSI는 지금보다 늦은 7월 초 진행될 예정이다. 각 지역 세 번째이자 마지막 스플릿에서 마침내 한 해를 관통하는 해당 지역의 최종 우승팀이 가려지게 된다.

3개 스플릿으로 이뤄진 단일 시즌 제도를 통해 각 스플릿의 응집력과 상호 연결성을 높이고 정규 리그 경기의 중요성을 증대시키면서 팬들의 관심도도 시즌이 흘러갈수록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라이엇게임즈 측은 "한 해의 대미를 장식하는 최고 권위 국제 대회인 리그오브레저드 월드 챔피언십에 대한 기대감이 점점 달아오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5년부터 아메리카스 지역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리그가 통합된다. 아메리카스 지역은 그동안 북미라고 불렸던 LCS와 브라질의 CBLOL, 라틴 아메리카의 LLA가 통합되면서 '아메리카스'라는 이름으로 리그가 운영된다.

2024년 세 지역은 팬덤이 커지면서 시청 지표가 개선되는 등 양적으로 성장했고 팬들은 다국어 방송과 공동 스트리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서로의 지역 대회에 관심을 보였다. 라이엇게임즈는 새로운 범미주 리그 개념을 도입, LCS와 CBLOL이 각각 북미와 남미 컨퍼런스로 경쟁하도록 개편했다. 각 컨퍼런스는 기존 리그 팀 중 6개 팀을 유지한 채 LLA에서 각각 한 팀씩을 통합할 계획이다. 여기에 승강전을 통해 2부 리그에서 올라올 초청팀 한 팀씩을 확보할 예정이며, 그 결과 각 컨퍼런스 당 총 8개 팀이 경쟁을 펼친다.

라이엇게임즈는 올해 가을 북부와 남부 컨퍼런스의 팀 선발 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공개하고 각 스플릿의 대회 방식 및 컨퍼런스 간 대결 방식, 아메리카스의 티어2 시스템에 대한 결정 사항을 발표할 계획이다.

2024년 일본의 LJL, 오세아니아의 LCO를 포괄하면서 확대 개편된 PCS(아시아태평양)는 2025년을 앞두고 베트남 리그인 VCS까지 받아들이면서 진정한 의미의 아시아태평양 리그(APAC)로 거듭난다. 확장된 아시아태평양 리그는 베트남, 홍콩, 대만, 마카오, 일본, 오세아니아 및 기타 동남아시아의 최고 팀들이 모여 최고의 실력, 다양한 매치업, 신선한 라이벌 구도를 갖춘 지역 간 정기 대회로 거듭난다. 총 8개 팀이 리그에 참가하며 새로운 파트너십과 승격/강등 리그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발표된다.

내년 아시아태평양 리그에 참가할 초청팀들은 2024 PCS 및 VCS 서머 플레이오프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2024년 서머 스플릿에 참가하는 VCS, PCS, LJL, LCO 각 팀은 새로운 리그에 참가할 기회를 얻는다. 승격·강등 리그 모델이 적용된 이후에는 초청팀이 각자 지역 리그에서 승격할 기회를 얻는다.

2025년 총 5개 지역(아메리카스, LEC, LCK, LPL, APAC)으로 개편을 앞두고 라이엇게임즈는 지역별 국제 대회 출전권 배분 시스템 또한 새롭게 정비했다. 각 지역은 내년 3월 열리는 새로운 국제 대회에 한 슬롯(총 5개 팀)을 배분받으며 MSI에 두 슬롯(총 10개 팀), 월드 챔피언십에 세 슬롯을 배정받는다. MSI 우승팀과 두 번째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지역은 2024년과 마찬가지로 해당 리그에 월드 챔피언십 슬롯을 추가로 획득한다. 그 결과 총 17개 팀이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한다. 2025년 열리는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플레이-인 스테이지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이를 통과한 팀은 스위스 스테이지에 진출, 다른 15개 진출팀과 경쟁을 펼친다.

라이엇게임즈는 "이와 같은 큰 변화를 시도하는 이유는 리그오브레전드 이스포츠에 대한 팬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어 올리고 팀들의 재정 건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2025년부터 적용하겠다고 밝힌 글로벌 매출 풀(GRP)을 통해 티어1 팀들에 더 나은 지원을 해줌으로써 재정적 지속 가능성을 높여야만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이러한 변화가 효과를 입증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며 그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부족한 점이 있으면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shaii@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