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금융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저출생‧고령화로 타격 입은 보험업계, '시니어케어'로 수익 창출할까
입력: 2023.03.22 14:30 / 수정: 2023.03.22 14:30

보험사, 시니어 케어 부분 등 분야 진출 시도
민간소유지 건물 임차 허용 방안 등 정부 규제 개선 완화는 과제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전체 인구(5153만 명 추정)의 17.5%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전체 인구(5153만 명 추정)의 17.5%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최근 저출생‧고령화로 수익에 타격을 입은 보험업계가 요양업 등 '시니어케어' 사업을 통해 수익성 제고를 모색하고 있다. 다만 요양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본격적인 사업 진출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개선 완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당국 역시 최근 보험사의 신사업 진출 과정에 가로막힌 규제를 풀어줄 것을 시사하는 등 보험업계 살리기에 나서는 모양새다.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전체 인구(5153만 명 추정)의 17.5%로 나타났다.

이 속도라면 2025년에는 인구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 노인이 되는 셈이다. 통계청은 노인비율이 2025년 20.6%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오는 2035년 30.1%, 오는 2050년에는 40%를 넘길 것으로 예상했다.

그동안 국내 보험업계는 실버산업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며, 예정된 초고령사회 진입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특히 생보사들은 노인 세대 대부분이 기존 보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상품에 가입할 가능성이 낮고, 보험 가입 가능성이 있는 젊은 세대는 저출산으로 가입 가능한 인구수 자체가 줄어들고 있어 수익성에 타격을 입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생보사들의 주력상품인 보장성보험의 신계약매출은 지난해 3·4분기 말 기준 160조5805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0조 원 가까이 감소했다. 보험유지율도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 기준 13회차 국내 생보사들의 보험유지율은 84.8%다. 미국(91.9%), 일본(95.3%), 홍콩(93.3%), 싱가포르(99.3%) 등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이에 국내 보험사들도 보험업계 수익성과 성장성 하락을 극복하기 위해 시니어 케어 부분 등 분야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신한라이프는 요양사업 전담 TF(태스크포스)를 만들어 요양 시설 건립 부지 매입에 나섰다. 자회사인 신한금융플러스내에 요양사업부문도 신설했다. 신한라이프 관계자는 "부지를 매입하려고 알아보고 있는 단계이며 위치는 아직 선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NH농협생명도 지난 2월부터 요양사업 TF를 운영하고 있다.

앞서 가장 먼저 시니어케어 시장에 진출한 KB손해보험의 경우 자회사인 KB골든라이프케어를 설립해 사업 확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재 KB손해보험은 강동케어센터, 위례빌리지, 서초빌리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서울 은평구에 새로운 시설 개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KB손해보험 관계자는 "부지 확보 후 건물 건립을 위한 사전 승인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전 생애에 걸친 라이프 케어를 하면서 확대할 수 있는 사업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보험 쪽에서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역"이라면서 "소규모보다는 대기업에서 진출을 할 수 있는 영역인데 앞으로 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은 지난 2월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업무 추진 전략을 발표하며 요양 등 시니어 케어 진출을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정소양 기자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은 지난 2월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업무 추진 전략을 발표하며 요양 등 '시니어 케어 진출'을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정소양 기자

다만 보험사들이 요양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본격적인 사업 진출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개선 완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에 따라 30인 이상의 요양시설 설치를 위해서는 사업자가 토지·건물을 직접 소유하거나 공공부지 임차가 필요하다.

보험업계는 토지나 건물을 직접 소유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들고 공공부지는 주로 도심이나 외곽을 벗어난 곳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민간 소유 토지·건물도 일정 요건에서는 임차를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희수 생보협회장은 지난 2월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업무 추진 전략을 발표하며 요양 등 '시니어 케어 진출'을 활성화하겠다고 말하면서도 "요양 시설 설치 시 민간소유지 건물 임차 허용 방안을 정책당국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 역시 최근 보험사의 신사업 진출 과정에 가로막힌 규제를 풀어줄 것을 시사하는 등 보험업계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민관 협의체인 '금융규제혁신회의'를 출범하고 비금융정보 활용을 통한 보험서비스 고도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험모집 규제개선, 보험사의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 보험그룹 내 1사1라이선스 규제 완화 등을 세부과제로 선정했다.

또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 입장에서는 부동산 규제가 풀어지면 요양 사업 진출에 대한 길이 열리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전체 인구 구조 자체가 고령화 추세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고령화 대상의 상품이나 서비스가 출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