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금융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다중채무자·부동산PF 부실 위험 둥둥…심상치 않은 저축은행 건전성
입력: 2022.08.02 14:09 / 수정: 2022.08.02 14:09

업계 "과거 저축은행 사태 가능성은 낮아…리스크 관리 철저히 할 것"

최근 금리상승기에 접어들면서 저축은행 다중채무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더팩트 DB
최근 금리상승기에 접어들면서 저축은행 다중채무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저축은행업계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다중채무자 비중이 증가하고, 최근 부동산 거품이 빠지면서 PF 대출에 대한 부실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업계는 건전성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겠다는 입장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리상승기에 접어들면서 저축은행 다중채무자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 대출자 중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비중은 2019년 말 69.9%에서 2020년 말 71.2%로 증가했고, 올해 5월 말 기준 75.8%까지 증가했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의 금융권에서 동시에 대출을 받은 차주들이다. 금리 인상기에 다중채무자가 늘어나면 연체율 상승 등 부실 위험이 높아져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간주된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시중은행에 비해 고금리이기 때문에 부실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밖에 없다.

최근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자 금융당국 역시 다중채무자의 대출 건전성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며 경고했다.

앞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달 열린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서 "다중채무자 비중은 이미 높은 수준이고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여신심사 및 사후관리 강화 등 건전성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중채무자 비중이 증가하고, 최근 부동산 거품이 빠지면서 PF 대출에 대한 부실 우려가 높아지면서 저축은행업계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더팩트 DB
다중채무자 비중이 증가하고, 최근 부동산 거품이 빠지면서 PF 대출에 대한 부실 우려가 높아지면서 저축은행업계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더팩트 DB

이러한 가운데 업계 안팎에서는 저축은행업계의 건전성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 이후 크게 개선됐다곤 하지만 최근 건전성 리스크 평가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은 매년 하락하고 있다. BIS 자기자본비율은 손실 흡수력을 평가하는 자본건전성 지표로,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을 얼마나 보유했는지를 나타낸다. 저축은행 업계의 BIS 비율은 지난 2019년 말 14.8%에서 △2020년 14.2% △2021년 13.3% △2022년 1분기 말 13.1%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무분별하게 늘어난 부동산 PF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저축은행업계의 올해 1분기 PF 대출 규모는 10조4000억 원대로 집계됐다. 저축은행업계는 가계대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PF 대출 규모를 꾸준히 늘려왔다. 실제로 2019년 말 6조3000억 원대였던 PF 대출 규모는 지난해 말 9조5000억 원까지 급증했다.

문제는 최근 부동산 거품이 빠지면서 PF 대출에 대한 부실 우려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실제로 앞서 2011년 부동산 PF 대출을 무분별하게 늘린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시장 침체로 잇달아 파산한 사례가 있다. 이후 당국은 이 같은 연쇄 부실로 인한 저축은행 사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부동산 PF 대출을 신용공여한도의 20% 이내로 제한했다.

다만, 업계는 과거 저축은행 사태와 같은 일이 벌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입장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신용공여한도 내에서 문제 없이 철저히 관리가 되고 있다"며 "부동산 PF 대출 규모나 증가세는 모니터링 하고 있다. 다만 자산규모 대비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여력이 남을 정도로 관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js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