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카카오모빌리티 인수 추진…골목상권 논란 등 사업 부담 느낀 듯
국내 1위 모빌리티 플랫폼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한예주 기자 |
[더팩트|한예주 기자] 국내 1위 모빌리티 플랫폼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설이 불거졌다. 최대주주 카카오가 사모펀드운용사 MBK파트너스에 지분을 파는 방식이다.
업계는 "예상했다"는 반응이다. 수수료 인상 및 골목상권 침해 논란은 물론이고 각종 규제로 인해 사업 확장에 발목이 잡힌 만큼 문제가 있는 계열사를 파는 것이 카카오 입장에선 가장 안전할 것이라는 해석이다. 게다가 카카오모빌리티는 초기 투자자인 TPG와의 계약 때문에 연내 기업공개(IPO)를 해야 하는데 현재 주식시장의 여건상 상장이 어려워지자, 아예 지분을 파는 방법을 택했을 가능성이 크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카카오는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설에 대한 조회 공시를 통해 "주주가치 증대와 카카오모빌리티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현재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최근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와의 매각 논의 보도에 대한 반응이다. 카카오가 보유한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57.5% 가운데 약 40% 정도를 MBK파트너스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내용이다.
카카오는 현재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57.5%를 보유한 대주주다. TPG컨소시엄(TPG·한국투자파트너스·오릭스)의 지분율이 29%, 미국계 PEF 칼라일 지분율이 6.2%다. 최근 구주 거래 과정에서 약 8조5000억 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 받았다.
업계에서는 최근 정부 규제, 플랫폼 독점 논란 등으로 카카오모빌리티가 공격적인 사업 확장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는 데 어려움을 겪자 카카오가 지분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8월 국내외 증권사들에게 상장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하고 상장 준비에 나섰다. 그러나 수수료 인상 등 각종 부정적인 이슈가 불거지면서 IPO 일정 자체가 잠정 중단됐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지난 3월 주관사단을 확정하면서 IPO 재개 등의 가능성이 점쳐졌으나 최근 악화된 거시경제 환경 등으로 제대로된 기업가치를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MBK파트너스는 카카오가 보유하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약 40% 정도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성사까지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MBK파트너스 홈페이지 |
매각 가능성이 거론된 배경과 관련해 업계에서는 가맹택시, 대리운전업 등 카카오모빌리티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 기존 업계의 반발은 물론이고 규제에 막혀 제대로된 사업을 추진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카카오모빌리티가 대기업 집단인 카카오에서 독립된다면 유연한 사업 운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카카오모빌리티가 운영하는 카카오택시의 경우 '콜 몰아주기'및 알고리즘 변경 의혹이 제기되면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에 직면해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최근 플랫폼 산업에 대해 창의적인 활동을 차세대 성장동력이 아닌, 규제의 대상으로만 보며 대립각을 세우는 분위기가 형성된 듯 해 안타깝다"며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최근엔 대리운전업이 중소기업 적합 업종으로 지정되면서 사업 확장도 발목이 잡힌 상황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글로벌과 상생을 통해 체질 개선 의지를 밝히고 있으나 추락한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를 회복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카카오는 사실상 이제 대기업 집단이 됐다. 기업의 이미지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간 모빌리티 사업으로 욕을 너무 많이 먹었다"면서 "문제가 있는 사업을 없애 논란의 소지를 없애고 싶을 것"이라고 말했다. 논있는 상황에서 논란의 소지를 없애고 싶을 것이다.
다만, 카카오가 핵심 사업으로 성장시킨 카카오모빌리티를 쉽게 매각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자율주행·UAM(도심형항공모빌리티) 등 모빌리티 사업이 유망한 미래 먹거리로 꼽히기 때문이다.
가입자 3100만 명을 보유한 카카오T는 시장 점유율 80%를 훌쩍 넘기며 압도적인 국내 1위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카카오는 최근 애널리스트 간담회에서 모빌리티 사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기존 택시·대리 등 B2C 플랫폼 사업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물류·긱워커 플랫폼·이동 수단 내 오프라인 광고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한다는 목표다.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진출·자율주행 플랫폼 등의 가능성도 내비쳤다.
카카오와 MBK 양측이 밸류에이션 산정에 있어 합의를 보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카카오가 모빌리티 사업에 대한 부담감에 위험 요소를 제거하고 싶은 것과 별도로 매각이 쉽게 성사될 지는 두고봐야 한다"며 "카카오와 MBK 간에 밸류에이션에 대한 시각차가 큰데다, 카카오T 앱이나 카카오택시 서비스에서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를 사용할지 여부 등 경영관련 합의할 사항도 많다"고 설명했다.
한편, 매각설로 사내 분위기가 뒤숭숭한 가운데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지난 14일 사내 커뮤니티 아지트를 통해 "혹시나 주주 구성 변화가 이루어 지더라도 그 과정에서 크루분들의 권리가 침해 받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보내며 매각설 자체를 부인하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