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 4개 부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단' 출범식을 열고 '자율주행 레벨 4+'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24일 밝혔다. /이새롬 기자 |
부처별 유기적 추진·사업화 강화
[더팩트ㅣ박경현 기자]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총 1조1000억 원을 투입해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이끌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을 공식 출범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4개 부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단' 출범식을 열고 '자율주행 레벨 4+'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24일 밝혔다.
자율주행 레벨4는 특정 구간에서 제어권 전환 없이 운행이 가능한 자율 주행을 의미한다. 레벨 4+는 레벨4 수준의 자율 주행은 물론 인프라와 사회 서비스를 포함해 연구개발을 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의지를 표현한 말이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단(이하 사업단)은 4개 부처가 올해부터 본격 착수한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을 보다 유기적으로 추진하고, 연구성과에 대한 사업화를 강화하기 위해 신설한 공익법인이다. 사업단은 총 17명의 인력으로 구성됐으며, 사업단장은 최진우 전 현대기아차 PM 담당이 맡았다.
사업단은 그동안 부처별로 나뉘어 추진됐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을 총괄 기획·관리하고, 사업성과의 보급·확산 등 사업화 촉진은 물론, 공공-민간 협력의 가교 역할 등을 중점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은 '2027년 융합형 레벨 4+ 자율 주행 상용화 기반 완성'을 목표로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총 1조974억 원이 투입되는 다부처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차량융합 신기술, ▲ICT 융합 신기술,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 ▲서비스 창출, ▲생태계 구축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총 84개 세부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날 출범식에서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정부는 친환경차와 더불어 미래차 뉴딜의 양대 축인 자율 주행이 우리 자동차 산업 경쟁력 제고와 미래 시장 선점을 이끌 핵심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출범식에서는 자율주행차 SW 고도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지는 한편 자율 주행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되기 위한 법·제도 마련에 대한 계획도 전했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정보통신 정책실장은 "데이터 댐 사업에서 구축한 방대한 자율 주행 학습용 데이터와 본 사업을 긴밀히 연계해 우리나라의 자율 주행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무익 국토부 교통 물류실장은 "범정부 자율 주행 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2024년까지 레벨4 안전기준과 보험 제도 등을 마련함으로써 2027년 세계 최초로 완전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pkh@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