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금융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집값 폭등에 신용대출 급증…은행권 "대출 문턱 높여야"
입력: 2020.08.06 00:00 / 수정: 2020.08.06 08:13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신용대출이 두 달 연속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월 말 기준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120조1992억 원으로 전달보다 2조6760억 원(2.28%) 늘었다. /더팩트 DB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신용대출이 두 달 연속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월 말 기준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120조1992억 원으로 전달보다 2조6760억 원(2.28%) 늘었다. /더팩트 DB

'빚투'하는 동학개미도 일정 비중 차지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국내 5대 은행의 신용대출이 두 달 연속 급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 부동산 규제로 집값이 오르자 주택 구매 수요가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주식시장에서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는 '동학개미'도 신용대출에 일정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안팎에서는 대출 부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출 문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7월 말 기준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120조1992억 원으로 전달보다 2조6760억 원(2.28%) 늘었다.

사상 최대 증가세를 기록한 지난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급증세를 보인 것이다. 6월의 경우 신용대출 잔액은 117조5232억 원으로 전달보다 2조8374억 원 증가했다.

업계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신용대출 급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주택 매수자금이 필요한 사람들이 신용대출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현재 주택 매매시장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나날이 치솟자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패닉바잉(공황 구매)'이 가세하면서 가열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1.12%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2월(1.24%)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반면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52조8230억 원으로, 전달보다 1조3672억 원(0.3%)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의 '6·17 부동산 대책' 등으로 인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담보대출이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대출 문턱이 낮은 신용대출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관측이다. 최근 정부는 6·17부동산대책과 7·10 주택시장 안정대책을 통해 주택담보 대출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현행 70%에서 시가 9억 원 이하 주택은 40%, 9억 원 초과는 20%, 총부채상환비율(DTI)는 40%로 제한한 바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대출 부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출 문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더팩트DB
업계 안팎에서는 대출 부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출 문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더팩트DB

여기에 초저금리로 인해 '빚투(빚내서 투자)'하는 동학개미도 신용대출에 일정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신용대출 금리가 최저 연 2%대인 상황에서 빚을 내서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은행연합회는 지난달 시중은행 신용대출 금리가 연 2.07~4.11%(신용등급 1~2등급 기준) 수준이라고 밝혔다. 즉, 연수익률 5%만 나와도 '빚투'가 이익인 셈이다.

증시 대기 자금으로 불리는 투자자 예탁금은 지난달 31일 기준 47조 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말 약 27조 원보다 70%가량 늘어난 것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금리가 낮아지면서 부동산과 주식에 투자하기 위해 신용대출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건전성을 우려해 대출 문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은행은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신청 시기가 겹치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좀 더 까다롭게 보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앞선 관계자는 "부동산,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로 신용대출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지만, 자금 용도를 파악할 수 없어 뚜렷한 통제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대출 부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건전성 관리를 위해 리스크 평가를 강화하고 신용대출 한도를 낮추는 등 선제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js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