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취임 30주년인 오늘(1일) 삼성전자는 별도의 행사를 치르지 않는 대신 '30년을 이어온 약속'이란 제목의 5분 분량의 특별영상을 상영했다. 지난 2012년 11월 30일 취임 25주년 기념행사 당시 부인인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관장과 행사장에 참석한 이건희 회장. /더팩트 DB |
[더팩트 | 서재근 기자] 지난 2012년 11월 30일 오후 3시 40분. 부인인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관장의 손을 잡고 서울 중구 호암아트홀 앞에 모여든 수십여 명의 취재진을 향해 고개를 숙이며 인사를 건넸던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당시 삼성그룹은 이 회장의 회장 취임 25주년을 맞아 지난 취임 기간 동안 공로와 업적을 되돌아보기 위해 기념행사를 열었다. 그해 사장이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해 삼성 일가가 한자리에 모여 이 회장을 축하했던 이 날의 광경도 어느덧 5년이라는 세월 속에 자리한 기억의 한 페이지가 됐다.
오늘(1일)은 이 회장이 취임한 지 30주년이 되는 날이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5년 전 그룹 차원에서 이 회장의 업적을 홍보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별도의 행사를 치르지 않고,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에서는 이날 오전 5분 30초 분량의 사내방송을 통해 '30년을 이어온 약속'이라는 제목의 이 회장 취임 30주년 특별영상을 상영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재계 안팎에서는 '조용한 30주년'이 될것이라는 관측이 진작부터 나왔다. 이 회장이 지난 2014년 심근경색으로 와병 중인 데다가 이 부회장이 구속 수감 중이기 때문이다. 회사 창립 이후 초유의 사태에 직면한 삼성의 앞날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지만, 총수가 던진 메시지와 이를 기반으로 한 삼성의 변화는 현재진행형이다.
지난 1993년 6월 7일 환골탈태 수준의 강도 높은 변화와 질적 성장을 주문한 이 회장의 '신경영 선언' 이후 2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삼성은 국내 기업에서는 최초로 글로벌 100대 브랜드 가치 '톱10'(6위)에 오르며 매출 규모만 460조 원(2017년 상반기, 16개 상장사 기준)을 웃도는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건희 회장이 취임한 지 30년이 지난 오늘날 삼성은 매출 규모만 460조 원을 웃도는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했다. |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갤럭시' 시리즈를 내놓으며 애플의 '아이폰'과 직접 경쟁하는 사실상 유일무이한 경쟁자로 자리매김한 데 이어 올해 최고 실적을 거둔 반도체 부문에서의 성장세는 지금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시장에서는 오는 2018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63조 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온다. 이 회장이 회장직에 올랐던 지난 1987년 삼성의 매출이 9조9000억 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취임 당시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이 회장의 공약은 이미 지켜졌다고 평가해도 어색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의 변화다. '성과가 있는 곳에 보상이 있다'는 이 회장의 경영 DNA와 '잘 하는 것에 집중하자'는 이 부회장의 경영 지침 아래 자연스러운 변화를 꾀했던 삼성이지만, 이 회장의 와병과 이 부회장의 구속으로 최고의사결정권자의 리더십에 비상등이 켜진 상황이다.
더욱이 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왔던 미래전략실마저 해체되면서 대규모 인수합병(M&A)을 비롯해 계열사 간 소통, 의사 공유도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치러진 2018년도 정기 인사에서도 삼성전자는 사장단 인사를 단행한 이후 열흘이 넘도록 부사장급 이하 임원 인사 시기를 정하지 못하고 장고를 거듭했다.
삼성의 정통한 한 관계자는 "총수의 '오너십', '리더십'은 재계 서열 1위 삼성을 움직이는 원동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이 회장 와병에도 이 부회장이 버팀목 역할을 하며 전자와 금융, 바이오 등 핵심 3대 신수종 사업을 중심축으로 한 사업구조 개편 작업에도 속도가 붙는 듯했지만, 이 부회장마저 이번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되면서 분위기는 다시 무거워졌다. 어떤 식으로든 변화를 꾀하겠지만, 내부에서도 '총수 부재'에 대한 위기의식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